The Mukden Palace

The Mukden Palace was the residence of Huang Taiji, the second emperor of the Qing dynasty, and the political center before the Qing entered Beijing. Huang Taiji passed away before the fall of the Ming dynasty, so he never set foot in Beijing. The first Qing emperor to live in the Forbidden City was his son, Emperor Shunzhi.

You may have heard of Huang Taiji—he was the one who led the campaign against Joseon Korea, forcing King Injo to surrender at Samjeondo. Although he was a cold ruler in politics, in his personal life he was a deeply devoted husband. Like many rulers, he had several Mongolian wives through political alliances, but when he was forty-three, he met a twenty-six-year-old Mongolian woman who became the true love of his life. She is remembered in history as Consort Chen, Hailanzhu. The name “Hailanzhu,” given to her by Huang Taiji, means “my beloved one” in Manchu. Her residence in the palace was called the “Palace of Guan Ju,” named after a famous poem from The Book of Songs, symbolizing his profound affection for her.

Soon after their marriage, Hailanzhu became his favorite consort. She gave birth to Huang Taiji’s eighth son, and the emperor, overjoyed, declared that this was his true heir, even breaking precedent by calling a council to propose making the child crown prince. Sadly, the boy died before reaching his first birthday, and Hailanzhu fell gravely ill from grief.

In 1641, while Huang Taiji was leading the Qing army against the Ming forces at Jinzhou, news reached him that Hailanzhu was critically ill. He abandoned the campaign and rode back to Shenyang day and night without rest, but he arrived too late. Hailanzhu had already passed away at the age of thirty-two. The emperor was devastated, fainting from grief several times and refusing food for days.

Just two years later, in 1643, Huang Taiji himself suddenly died in the Mukden Palace at the age of fifty-one. Because he had not named a crown prince, his six-year-old son Fulin was placed on the throne—the Emperor Shunzhi. The following year, in 1644, the Qing army entered Beijing, the Ming dynasty collapsed, and the Qing formally took control of China.

You may ask “Is the Mukden Palace worth a visit?” I’m not the best person to ask—I’ve never actually been to Shenyang. In fact, the farthest north I’ve traveled in China is only as far as Beijing.

심양 고궁(瀋陽 故宮)은 청 태종 홍타이지(皇太極)의 거처였고, 청나라가 베이징으로 들어가기 전의 정치 중심지였습니다. 홍타이지는 명나라가 멸망하기 전에 이미 세상을 떠났기 때문에 베이징에 가 본 적이 없었죠. 자금성(紫禁城)에 처음 들어간 청나라 황제는 그의 아들, 순치제였습니다.

홍타이지라는 이름, 다들 들어보셨을 겁니다. 조선을 직접 정벌해 인조로 하여금 삼전도에서 항복하게 만든 인물이 바로 그였습니다. 정치적으로는 냉혹한 군주였지만, 개인적인 삶에서는 뜻밖에도 매우 헌신적인 남편이었습니다. 많은 군주들이 그러했듯 그는 정치적 이유로 여러 몽골 공주와 혼인했지만, 마흔세 살에 스물여섯 살의 한 몽골 여인을 만나게 되었고 그녀는 그의 삶의 진정한 사랑이 되었습니다. 그 여인이 바로 역사에 남은 신비(宸妃) 해란주(海蘭珠)입니다. “해란주”라는 이름은 홍타이지가 직접 지어준 것으로, 만주어로 “가장 사랑하는 사람”이라는 뜻이에요. 그녀가 살던 궁은 『시경』의 “관저”에서 따온 “관저궁(關雎宮)”이라 불렸는데, 그만큼 깊은 애정을 담은 이름이었죠.

해란주는 결혼하자마자 황제의 절대적인 총애를 받았습니다. 그녀는 홍타이지의 여덟째 아들을 낳았고, 홍타이지는 크게 기뻐하며 “이 아이야말로 진정한 내 아들”이라며 태자로 삼겠다고까지 했습니다. 그러나 아기는 돌이 되기도 전에 요절했고, 해란주는 큰 슬픔에 병들고 말았습니다.

1641년, 홍타이지가 금주(錦州)에서 명군과 결전을 벌이던 중 해란주가 위독하다는 소식을 들었습니다. 그는 곧바로 전장을 뒤로하고 밤낮없이 달려 심양으로 돌아왔으나 이미 늦었습니다. 해란주는 서른두 살의 나이로 눈을 감았고, 홍타이지가 큰 충격에 빠져 울며 여러 차례 기절하고 며칠 동안 아무것도 먹지 못했다고 합니다.

불과 2년 뒤인 1643년, 홍타이지 자신도 심양 고궁에서 갑작스럽게 세상을 떠났습니다. 향년 51세였습니다. 그는 태자를 미리 정해두지 않았기 때문에, 겨우 여섯 살이던 아들 복림이 황위에 오르게 됩니다. 그가 바로 순치제입니다. 이듬해 1644년, 청군이 베이징에 입성하면서 명나라는 멸망했고, 청나라는 중국의 새로운 지배자가 되었습니다.

그렇다면 심양 고궁은 가볼 만한 곳일까요? 솔직히 저는 가 본 적이 없습니다. 제가 중국에서 가 본 가장 북쪽은 베이징이거든요. ㅋ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