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ing Hou Gui

In 1921, a bronze vessel from the early Western Zhou period was unearthed in Xingtai, Hebei Province, China. Inside the vessel are 68 engraved characters that record how Pengshu — the fourth son of the Duke of Zhou, Dan — was granted his title Marquis of Xing by King Cheng of Zhou.

After founding the Zhou dynasty, King Wu of Zhou passed away just three years later, in 1043 BC. His son, King Cheng, was still a child, so King Wu’s brother — King Cheng’s uncle, the Duke of Zhou — served as regent and assisted in governing the kingdom. The Duke of Zhou was diligent and loyal, managing state affairs on behalf of the young king and suppressing multiple rebellions, thereby consolidating the Zhou dynasty’s rule. When King Cheng came of age, the Duke of Zhou returned political power to him.

King Cheng deeply appreciated his uncle’s devotion. After the Duke of Zhou’s death, the king enfeoffed his sons as lords. The fourth son, Pengshu, was granted the title of Marquis and established the State of Xing — he was the owner of this bronze vessel, known as the Marquis of Xing’s Gui. A Gui is a type of ancient bronze ritual vessel from the Shang and Zhou dynasties, characterized by its round, wide-mouthed shape and used to hold cooked grains or food during ceremonial offerings.

In ancient China, people had clan names but not family names. Pengshu’s original clan name was “Ji.” After being enfeoffed as ruler of the State of Xing, he adopted “Xing” as his family name — and thus the family name “Xing” was born.

In the 1930s, this bronze vessel was purchased by George Eumorfopoulos, a wealthy British businessman who later sold it to the British Museum. High-resolution images of it can be viewed on the museum’s official website.. I’ve already visited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the Louvre, and the Hermitage Museum — only the British Museum remains. Someday, I’ll surely go and see it with my own eyes.

1921년, 중국 허베이성 싱타이(邢台)에서 서주(西周) 초기의 청동기가 출토되었습니다. 그 안에는 68자의 명문(銘文)이 새겨져 있으며, 주공단(周公旦)의 넷째 아들인 팽숙(朋叔)이 주성왕(周成王)으로부터 제후의 작위를 하사받은 과정이 기록되어 있습니다.

주무왕(周武王)은 주나라를 세운 뒤 불과 3년 만인 기원전 1043년에 세상을 떠났습니다. 그의 아들 주성왕은 아직 어렸기 때문에, 무왕의 동생이자 성왕의 숙부인 주공단(周公旦)이 섭정으로서 나라를 다스렸습니다. 주공단은 충직하고 성실했으며, 어린 성왕을 대신해 국정을 돌보고 여러 차례의 반란을 평정하여 주 왕조의 통치를 굳건히 했습니다. 성왕이 성인이 되자, 주공단은 스스로 권력을 돌려주었습니다.

성왕은 숙부의 헌신에 깊이 감사했습니다. 주공단이 세상을 떠난 뒤, 성왕은 그의 아들들을 제후로 봉하였고, 넷째 아들 팽숙(朋叔)은 2등작인 후작(侯爵)의 작위를 받아 형나라를 세웠습니다. 그가 바로 이 청동기의 주인으로 ‘형후궤(邢侯簋)’라는 이름의 유래입니다. 궤(簋)는 상(商)과 주(周) 시대에 사용된 고대 청동 제기(祭器)의 한 종류로 입구가 넓고 둥근 형태를 띠며 제사 의식에서 익힌 곡식이나 음식을 담는 데 사용되었습니다.

상고 시대의 중국에서는 ‘성(姓)’은 있었지만 ‘씨(氏)’는 없었습니다. 팽숙의 본래 성은 ‘희(姬)’였으나 형나라의 군주로 봉해진 후 자신의 씨를 ‘형(邢)’으로 정하였습니다. 이것이 오늘날 ‘형(邢)’씨의 기원입니다.

1930년대에 이 청동기는 부유한 영국 사업가 조지 유모르포풀로스가 구입하였으며, 이후 그는 이 청동기를 대영박물관에 판매하였습니다. 이 유물의 고화질 이미지는 대영박물관 공식 웹사이트에서 볼 수 있습니다. 저는 세계 4대 박물관 가운데 메트로폴리탄 박물관, 루브르 박물관, 에르미타주 박물관은 모두 방문했지만 아직 대영박물관에는 가보지 못했습니다. 언젠가 꼭 직접 찾아가 이 청동기를 제 눈으로 보고 싶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