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lf Totem (2019)

By The Hu

Listening to this Mongolian song, you can almost feel the raw energy of Genghis Khan’s bloodline.

For centuries, Mongolia’s clashes with China weren’t really about politics or ideology—they were about survival. The steppe is dry, with barely 400 millimeters of rain a year, making farming impossible. Herding livestock was the only option, but when harsh winters wiped out herds, the nomads had little choice but to head south in search of food, often through raids.

Of course, endless conflict was exhausting, so the Mongols tried to make peace through trade. But trade was never balanced. China had almost everything the Mongols wanted, while the Mongols had little that China truly needed. Horses were the one exception—indispensable as military assets—but those were too valuable to give up. Instead, they offered furs, yogurt, and dried beef. The trouble was, none of it caught on in China. Who needed furs in the humid south? Yogurt was healthy but didn’t suit Chinese tastes. Personally, I only eat it if it’s strawberry-flavored. And Mongolian jerky was so tough it could break your teeth. On top of that, the Chinese palate favored pork over beef. Unsurprisingly, business often failed, and when trade broke down, conflict followed.

Today, the equation has flipped. Mongolia exports over 90 percent of its coal, copper, and rare earth minerals to China—and China depends on them. Landlocked yet resource-rich, Mongolia leans heavily on its southern neighbor. That mutual dependence has created stability—so instead of raiding and fighting, the two are now bound together by trade.

몽골 노래를 듣고 있자니, 정말 칭기즈칸 후예다운 기세가 느껴지네요. ㅋㅋㅋ

중국 역사에 익숙한 사람이라면 누구나 알다시피, 지난 2,000여 년 동안 중국을 가장 골치 아프게 한 존재는 바로 몽골이었습니다. 몽골과 중국의 대립 원인은 민주주의니 사회주의니 하는 정치 이념의 문제가 아니었습니다. ㅋㅋㅋ 그 이유는 단 하나, 먹고 사는 문제, 곧 생존이었지요. 몽골 초원은 연 강수량이 400mm 이하라 농사가 불가능해 유목 생활이 불가피했고, 기후가 혹독해지면 가축이 대량으로 죽었습니다. 그러면 결국 생존을 위해 남쪽으로 내려가 약탈할 수밖에 없었죠.

몽골도 매번 싸우는 게 피곤했기 때문에 무역으로 좋은 관계를 유지하려 했지만, 무역이 늘 잘 풀리진 않았습니다. 중국에는 몽골이 원하는 풍부한 물자가 있었지만, 몽골에는 중국이 꼭 필요로 하는 게 거의 없었던 겁니다. 중국이 가장 원했던 건 말(馬)이었는데, 그 당시 말은 곧 군수 물자였으니 몽골이 역시 쉽게 내놓을 리 없었죠. 대신 내놓은 게 모피, 요거트, 육포였는데요. 근데 생각해 보세요. 더운 남쪽에서 누가 맨날 모피를 입겠습니까? 요거트는 건강식품이긴 하지만 중국인의 입맛엔 영 안 맞았습니다. 솔직히 저도 딸기맛 아니면 요거트를 잘 안 먹습니다. ㅋㅋㅋ 몽골 육포는 너무 딱딱해서 이가 부러질 정도였고, 그래서 역시 인기가 없었습니다. 게다가 중국인들은 원래 돼지고기를 더 좋아했습니다. 붙이자면, 돼지고기 육포는 역시 비첸향(美珍香)이죠! ㅋㅋㅋ 결국 장사가 안 되니 충돌이 잦을 수밖에 없었던 겁니다.

하지만 지금은 상황이 많이 달라졌습니다. 몽골은 석탄, 구리, 희토류 등 광물 자원의 90% 이상을 중국에 수출하고, 중국도 이를 필요로 합니다. 바다가 없는 몽골은 지정학적으로 중국에 의존할 수밖에 없고, 이렇게 상호 이익이 맞아떨어지면서 과거와 달리 평화로운 시대가 열린 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