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ndenburg Disaster

Script

First taking flight in 1936, the Hindenburg was, and still is, the largest object to ever fly. And its scale is simply awe-inspiring. Here is an average person compared to a typical bus, compared to a Boeing 747. And now here’s the Hindenburg. It dwarfs anything flying today.
1936년에 처녀 비행한 힌덴부르크는, 이후 현재까지도 비행 가능한 가장 큰 물체이다. 그리고 그 크기는 너무나 놀라웠다. 이것이 사람의 평균적인 신장으로, 일반적인 버스와 비교했을 때, 보잉 747과 비교했을 때의 모습이다. 그리고 이것이 힌덴부르크와 비교했을 때의 모습이다. 그것은 현재 비행하는 어떤 것도 초라하게 만든다.

And many people are surprised to learn just how extensive the Hindenburg’s accommodations were. Maybe it’s because you can’t really tell from the outside where the passenger spaces are. But the inside of the Hindenburg was more like an ocean liner than an airplane.
그리고 많은 사람들은 힌덴부르크의 숙박 공간이 얼마나 큰가에 대해 알게 되면 놀란다. 사실 외부에서는 숙박 공간이 어디에 있는지 알 수 없기 때문이다. 힌덴부르크의 내부는 비행기라기 보다 원양 정기 여객선과 더 비슷한 형태였다.

Passengers could enjoy dinner in a full service dining room, then take in the views from one of two promenades, or socialize in the piano lounge, or relax in the writing room. Downstairs, passengers could enjoy a cigar in the smoking room or have a drink at the bar. Heading back upstairs, passengers could retire for the night in their own private sleeping cabin, all of this, while floating in the sky.
승객들은 풀서비스를 제공하는 식당에서 저녁 식사를 즐긴 후, 두 개의 복도 중 하나에서 풍경을 감상할 수 있었고, 피아노 라운지에서 사교 모임을 갖거나, 서재에서 휴식을 취할 수도 있었다. 아래 층에서는 승객들이 흡연실에서 시가를 즐기거나 바에서 음료를 마실 수도 있었다. 위 층으로 돌아가면 개인 전용 객실에서 밤새 쉴 수도 있었다. 이 모든 활동은 다 하늘에 떠 있는 동안 이루어진다.

The fastest ocean liners of the day could only cruise at around 35 miles per hour, but an airship like the Hindenburg, well, it could easily do twice that. A transatlantic crossing that would have taken five days by ocean liner, could be done in just two days on the Hindenburg. And an airship, well it wouldn’t just take you to an ocean port, but to inland cities as well.
원양 정기 여객선 중 가장 빠른 것조차도 시간 당 최대 순항 속도가 35마일에 불과하지만, 힌덴부르크의 속도는 원양 정기선의 두 배였다. 원양 정기 여객선이 대서양을 횡단하는데는 5일이 소요되지만, 힌덴부르크는 단지 이틀이면 충분했다. 그리고 비행선이기 때문에 항구에 데려다 놓는 수준이 아니라, 내륙의 도시로 바로 갈 수 있었다.

The Hindenburg regularly flew over Europe on its way to inland destinations. But on May 6, 1937, after completing a trans-Atlantic crossing, the Hindenburg began to dock in New Jersey. And suddenly… something ignited the ship’s hydrogen lifting gas. The Hindenburg was destroyed in a matter of seconds. This wasn’t the first airship disaster, it wasn’t even the most deadly. But this one was different, it was captured on film.
힌덴부르크는 정기적으로 유럽을 비행했다. 하지만 1937년 5월 6일, 대서양 횡단을 마친 후, 힌덴부르크는 미국 뉴저지에 정박하기 시작했다. 그런데… 배를 띄우는 수소 가스에 갑자기 불이 붙었다. 힌덴부르크는 순식간에 무너져 내렸다. 이것은 최초의 비행선 사고도 아니었을 뿐만 아니라 사상자가 가장 많은 사고도 아니었다. 하지만 이번 사고는 다른 사고와 달리 카메라로 촬영되었다.

People weren’t used to seeing things like this, and it made the tragedy all the more horrifying. Many people consider the golden age of the airship travel to have ended here with the Hindenburg catastrophe. Public confidence was shattered and the romance and the extravagance of airships suddenly disappeared. But did the Hindenburg disaster really bring an end to the giant airship?
사람들은 이런 것을 보는 데 익숙치 않았고, 그것이 이 사고를 더욱 끔찍하게 만들었다. 많은 사람들은 비행선 여행의 황금기가 힌덴부르크 참사로 끝났다고 생각한다. 여객용 비행선에 대한 신뢰가 산산조각이 났고, 비행선의 로맨스와 사치에 대한 동경이 갑자기 사라졌다. 하지만 힌덴부르크 참사가 거대한 비행선의 시대를 진정 끝장낸 것일까?

Well, for something nearly the size of the Titanic, the Hindenburg could only carry 72 passengers at most. And it needed an additional 52 crew members just to operate. Compared that to an ocean liner of the day, which could comfortably carry more than 2,000 passengers, and had a crew and staff of over a thousand, giant airships like the Hindenburg carried so few passengers despite their massive size.
타이타닉과 거의 비슷한 크기의 힌덴부르크는 기껏해야 72명의 승객을 태울 수 있었다. 그리고 단지 운영을 위해 추가로 52 명의 승무원이 필요했다. 2,000명 이상의 승객을 편안하게 태울 수 있고 1,000명 이상의 승무원과 직원을 보유한 당시의 원양 정기 여객선과 비교해 힌덴부르크와 같은 거대한 비행선은 그 거대한 크기에도 불구하고 승객을 많이 태우지 못했다.

Because lifting gases, such as Helium just don’t provide all that much lift. Even when the Hindenburg switched from helium to hydrogen, it could still only manage to lift about one hundred thousand pounds. Sounds like a lot, but that’s only about the weight of eight elephants. So everything on the Hindenburg had to be designed to be as lightweight as possible to make sure the whole thing could stay afloat.
헬륨과 같은 리프팅 가스는 그다지 많은 양력을 제공하지 않기 때문이다. 힌덴부르크가 가스를 헬륨에서 수소로 바꾼 후에도 여전히 10만 파운드 가량이 한계였다. 큰 숫자처럼 들리지만, 사실 코끼리 8마리 정도의 무게에 불과한 수치다. 따라서 힌덴부르크의 모든 부품은 공중에 떠 있을 수 있도록 가능한 가볍게 설계되어야 했다.

Those passenger cabins, tiny and cramped, complete with bunk beds, no so luxurious. Even the walls and doors had to be made out of lightweight foam covered in fabric, so you could hear your neighbor talking, coughing or worse. And none of the cabins had their own bathrooms. That’s too heavy. So you’d have to go down a flight of stairs to use shared bathrooms. For 72 passengers, there was a single shower. Water, which weighs a lot, had to be rationed. So even that one shower wasn’t more than a trickle. The airship’s grand piano had to be made out of special lightweight aluminum, but even that was eventually removed to save weight.
이층 침대가 설치된 객실은 비좁고 답답하고 그다지 고급스럽지 않았다. 벽과 문조차도 천으로 덮인 가벼운 폼으로 만들어야 했기 때문에 옆 객실 승객들의 이야기, 기침 소리 뿐만 아니라 심지어 더 작은 소음도 들을 수 있었다. 그리고 어떤 객실에도 자체 욕실이 없었다. 너무 무겁기 때문이었다. 따라서 공용 욕실을 사용하려면 계단을 내려가야 했다. 72명의 승객은 샤워기 하나만 사용할 수 있었고, 물조차도 그 무게로 인해 제한될 수 밖에 없었다. 그래서 샤워 1회 당 아주 적은 양의 물줄기만 제공되었다. 비행선의 그랜드 피아노는 특별히 가벼운 알루미늄으로 제작되었지만, 무게를 줄이기 위해 추후 결국 철거됐다.

And yeah, maybe these are compromises you have to accept for floating in the sky, but the whole thing was absurdly expensive too. In today’s dollars, a single one-way trip aboard the Hindenburg costs almost 7,000 dollars. And sure, an ocean liner was half the speed, but a first-class cabin on an ocean liner came with a sprawling suite and a private bathroom.
그렇다, 물론 이 모든 것들은 아마도 하늘에 떠다니기 위해 받아 들여야 할 타협일지도 모르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모든 것이 터무니없이 비쌌다. 현재 화폐 가치로 환산했을 때 힌덴부르크로 편도 여행을 하는 데 드는 비용은 거의 7,000달러에 가깝다. 그리고 원양 정기 여객선은 속도는 절반에 불과했지만, 1등석 선실의 경우 넓은 스위트 룸과 전용 욕실이 함께 제공되었다.

Tickets on ocean liners were much more affordable, the accommodations were much more luxurious, giant ballrooms, theaters, even indoor swimming pools. And by 1937, if you really wanted to cross the ocean as fast as possible, well, aircraft were just starting to make transatlantic crossings.
원양 정기 여객선의 티켓은 훨씬 저렴했고 숙박 시설은 훨씬 더 호화로울 뿐만 아니라, 거대한 연회장, 극장, 심지어 실내 수영장이 있었다. 그리고 1937년 시점에는 가능한 빨리 바다를 건너고 싶다면 대서양 횡단을 막 시작한 항공기를 탈 수도 있었다.

By the time the Hindenburg went up in flames in 1937, the airship was already obsolete. It couldn’t compete with comfort and luxury of an ocean liner, its speed couldn’t match an aircraft, and all of it was absurdly expensive. Today, the giant airship remains an irresistible concept. But physics, just like it did 80 years ago, always manages to bring the giant airship idea back to earth.
1937년에 힌덴부르크가 화염에 휩싸였을 때 비행선은 이미 구식이었다. 원양 정기 여객선의 안락함과 고급스러움과 경쟁 대상이 아니었고, 속도도 항공기와 비교할 수 없었다. 하지만 모든 것이 터무니없이 비쌌다. 오늘날, 거대한 비행선은 여전히 거부할 수 없는 매력을 가진 컨셉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80년 전처럼, 거대한 비행선의 아이디어가 현실화되는 것은 물리학의 벽에 가로막혀 있다.

*bring back (down) to earth: to make someone realize the real situation that he has to do after having been too excited
잠시 흥분하지만 곧 현실로 돌아간다.

With Korean Subtitle
Hindenburg Disaster Scene From Time Travel Series
Hindenburg Scene From “Indiana Jones And The Last Crusade”

“No ticket.” 이런 유머가 참 마음에 든다. ^^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