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ian Jia (2020)

By Zhou Yan Ying

‘The Classic of Poetry (Shijing)’ is the earliest anthology of poetry in China, and the very word ‘shi (poetry)’ originates from it. The collection consists of 305 poems, composed from the early Western Zhou period (11th century BCE) through the mid–Spring and Autumn period (6th century BCE), and later compiled by Confucius.

The poems explore a wide range of themes—work and love, war and hardship, oppression and resistance, social customs and celebrations, as well as nature, landscapes, animals, and plants. In this way, ‘The Classic of Poetry’ serves as a vivid reflection of life in the Zhou dynasty. For more than two thousand years, it was honored as a Confucian classic and studied as essential reading for students in China. Among its best-known pieces is ‘Reeds.’

《시경(詩經)》은 중국에서 가장 오래된 시집으로, “시”라는 말의 어원도 여기서 비롯되었습니다. 모두 305편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서주 초기인 기원전 11세기부터 춘추 시대 중엽인 기원전 6세기에 걸쳐 지어진 작품들을 공자가 편찬한 것입니다.

노동과 사랑, 전쟁과 노역, 억압과 반란, 풍습과 잔치뿐 아니라 하늘과 풍경, 동물과 식물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주제를 담고 있어 주나라 사회 생활을 반영하는 거울이라 할 수 있습니다. 시경은 2천여 년 동안 유교의 경전으로 존중받았고, 학생들의 필독서로 전해졌습니다. 그중 〈겸가(蒹葭)〉가 특히 유명합니다.

詩經(시경) · 國風(국풍) · 秦風(진풍)

蒹葭(겸가): 갈대

蒹葭蒼蒼(겸가창창) : 짙푸른 갈대
白露爲霜(백로위상) : 흰 이슬 서리가 되었다
所謂伊人(소위이인) : 내가 말하는 그 분
在水一方(재수일방) : 강물 저 한 쪽에 계시네
遡洄從之(소회종지) : 물결 거슬러 올라가 그분을 따르려 해도
道阻且長(도조차장) : 길이 험하고도 멀도다
遡游從之(소유종지) : 물결 거슬러 헤엄쳐 그분을 따르려 해도
宛在水中央(완재수중앙) : 희미하게 물 가운데 계시네

蒹葭萋萋(겸가처처) : 무성한 갈대
白露未晞(백로미희) : 흰 이슬에도 아직 마르지 않았다
所謂伊人(소위이인) : 내가 말하는 그 분
在水之湄(재수지미) : 물가에 계시네
遡洄從之(소회종지) : 물결 거슬러 올라가 그분을 따르려 해도
道阻且躋(도조차제) : 길이 험하고 비탈지다
遡游從之(소유종지) : 물결 거슬러 헤엄쳐 그분을 따르려 해도
宛在水中坻(완재수중지) : 멀리 모래섬 가운데 계시네

蒹葭采采(겸가채채) : 더부룩 우거진 갈대
白露未已(백로미이) : 흰 이슬에 아직도 마르지 않았다
所謂伊人(소위이인) : 내가 말하는 그 분
在水之涘(재수지사) : 물가에 계시네
遡洄從之(소회종지) : 물결 거슬러 올라가 그분을 따르려 해도
道阻且右(도조차우) : 길이 험하고 오른쪽으로 돈다
遡游從之(소유종지) : 물결 거슬러 헤엄쳐 그분을 따르려 해도
宛在水中沚(완재수중지) : 멀리 강물 속 섬 가운데 계시네

As far as I know, the best-known poem from the Classic of Poetry (Shijing) in Korea is “The Crying Osprey (Guanju)”. This poem tells the story of a man who falls in love with a woman, longs for her day and night, and suffers in anguish because he cannot be with her.

제가 알기로 《시경(詩經)》에서 한국에 가장 잘 알려진 시는 〈관저(關雎)〉입니다. 이 시는 한 남자가 한 여인을 사랑하게 되어 밤낮으로 그리워하고, 이루지 못해 애태우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詩經(시경) · 國風(국풍) · 周南(주남)

關雎(관저):우는 물수리

關關雎鳩(관관 저구): 끼룩끼룩 저 물수리
在河之洲(재하지주): 강의 섬에 앉았네
窈窕淑女(요조숙녀): 아름답고 단아한 여인
君子好逑(군자호구): 군자의 좋은 배필이라네

This is actually where the Chinese words ‘lady’ and ‘gentleman’ come from.
숙녀와 군자라는 표현은 바로 여기에 유래한 것입니다. ㅋ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