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 Gui

The story of King Wu of Zhou’s conquest of the Shang dynasty and the legendary Battle of Muye has been passed down for over three thousand years. It is recorded in ancient classics such as the Book of Songs (Shijing), the Book of Documents (Shangshu), and the Records of the Grand Historian (Shiji), making it one of the most widely known episodes in Chinese history. Although the historicity of this event has never been in doubt, for a long time it was believed to have taken place sometime between 1050 and 1020 BCE. The exact date, however, remained a mystery.

In 1976, a remarkable discovery was made in Fufeng, Shaanxi Province: a 3,000-year-old bronze vessel known as the Li Gui. Inside the vessel, a 32-character inscription (Mingwen) was found, recording the very day of the Battle of Muye, including details of the combat and astronomical phenomena. By combining this inscription with astronomical calculations, scholars were able to pinpoint the long-elusive moment in history: January 20, 1046 BCE.

* The so-called Mingwen refers to inscriptions engraved on ancient Chinese bronzes, serving as valuable records that convey historical facts and culture.

On that day, King Wu led his army into battle at Muye, defeated King Zhou of Shang, and brought the Shang dynasty to an end. With this victory, the Western Zhou dynasty was established, marking a turning point in Chinese history. The owner of the bronze vessel had fought in the Battle of Muye himself, achieved military merit, and was rewarded with bronze by King Wu. He cast the bronze into a ritual vessel to honor his esteemed ancestor, Zhan. Because of its precious inscription, the Li Gui is regarded as a national treasure. Today, it is housed in the National Museum of China in Beijing.

After establishing the Zhou dynasty, King Wu of Zhou sought counsel from his teacher Jiang Taigong and his younger brother, the Duke of Zhou, Dan, on how to deal with the remaining people of the fallen Shang dynasty. Jiang Taigong advised that they should be wiped out, but the Duke of Zhou argued instead that they should be allowed to live peacefully, support themselves through their work, and become loyal subjects of Zhou. King Wu followed the Duke of Zhou’s advice, which earned him lasting renown as a wise and benevolent ruler.

The Duke of Zhou, Dan, is my ancestor. His fourth son, Pengshu, was granted the second noble rank of Marquis and enfeoffed in the land of Xing, where he founded the feudal state of Xing and adopted Xing as his family name. The state endured for roughly four centuries, from the 11th century BCE until 635 BCE.

*The Zhou dynasty’s feudal system recognized five ranks of nobility, known as the Five Orders: Gong Jue (Duke), Marquis (Hou Jue), Count(Bo Jue), Viscount (Zi Jue), and Baron (Nan Jue).

As I searched for answers to who I am and where I came from… I ended up falling into archaeology rather than philosophy.

주(周) 무왕이 상(商)나라를 정벌한 이야기와 목야(牧野) 전투의 전설은 3천 년 넘게 전해져 내려왔습니다. 『시경(詩經)』, 『상서(尚書)』, 『사기(史記)』 등 고대 문헌에도 기록되어 있어, 중국 역사에서 가장 널리 알려진 장면 가운데 하나로 꼽힙니다. 이 사건의 역사적 사실성에는 의심의 여지가 없었지만, 오랫동안 기원전 1050년에서 1020년 사이에 일어난 일이라는 것만 알려졌을 뿐, 정확한 연대는 여전히 미스터리로 남아 있었습니다.

그런데 1976년, 섬서성 부풍에서 3천 년 전의 청동기인 ‘이궤(利簋)’가 출토되었습니다. 그 안에는 32자의 명문(銘文)이 새겨져 있었는데, 목야 전투가 벌어진 당일의 전투 과정, 그리고 천문 현상이 상세히 기록되어 있었습니다.학자들은 이 기록을 천문학적 계산과 결합하여 오랫동안 풀리지 않던 역사의 순간을 특정할 수 있었고, 그 날짜가 바로 기원전 1046년 1월 20일임을 밝혀냈습니다.

*명문이란 중국 고대 청동기에 새겨진 글로, 역시적 사실과 문화를 전해주는 귀중한 기록입니다.

그날 주 무왕은 군대를 이끌고 목야에서 상 주왕을 무찌르며 상나라를 멸망시켰고, 마침내 서주 왕조가 세워졌습니다. 이는 중국 역사에서 매우 중요한 전환점이었습니다. 이 청동기의 주인은 ‘이(利)’라는 인물로, 목야 전투에 직접 참전하여 전공을 세운 뒤, 주 무왕에게 하사받은 청동으로 조상을 기리는 제기를 주조했습니다. 청동기 ‘이궤(利簋)’는 이처럼 귀중한 명문이 새겨져 있어 국보급 보물로 평가되며, 현재 베이징의 중국국가박물관에 소장되어 있습니다.

주 무왕은 주나라를 세운 뒤, 상 나라의 유민들을 어떻게 처리할지 스승인 강태공(姜太公)과 동생인 주공단(周公旦)에게 물었습니다. 강태공은 그들을 모두 제거해야 한다고 주장했지만, 주공단은 오히려 그들이 편안히 살며 생업에 종사하도록 하여 주나라의 백성으로 삼아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주 무왕은 주공단의 의견을 받아들였고, 그로 인해 어진 임금이라는 명성을 얻게 되었습니다.

이 주공단이 바로 저의 조상입니다. 주공단의 넷째 아들인 붕숙(朋叔)은 제2등 작위인 후작(侯爵)으로 책봉되어 형(邢) 땅에 봉해졌고, 그곳에 제후국인 형국(邢國)을 세웠고 ‘형’을 자기의 성씨로 삼았습니다. 형국은 기원전 11세기경부터 기원전 635년까지 약 400년 동안 존속했습니다.

*주나라는 제후를 봉할 때 다섯 등급의 작위(오등작)를 두었는데, 공작(公爵)·후작(候爵)·백작(伯爵)·자작(子爵)·남작(男爵)이었습니다.

나는 누구이고, 어디에서 왔는지 답을 찾다 보니… 철학 대신, 고고학으로 빠져버렸네요. ㅋㅋ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