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Tang Dynasty Divorce Agreement
In 1900, a monk made an incredible discovery in a hidden chamber of the Mogao Caves in Dunhuang, Gansu Province, China. Inside were 50,000 ancient scrolls, dating from the 4th to the 12th century — a remarkable 800 years of preserved history. While the majority were Buddhist scriptures, some offered rare glimpses into everyday life. Among them were twelve handwritten divorce agreements.
One of these, written by a man named Zhao Zongmin during the Tang Dynasty around 1,400 years ago, stands out for its sincere and poetic expressions.
It reads:
“Fate brought us together as husband and wife. But perhaps in a past life, we were also destined to clash — which is why we can’t live peacefully now. So let’s part ways.
As we go forward separately, I truly hope you take good care of yourself. Stay graceful, stay beautiful, and find someone who’s right for you. Let this be a calm and respectful goodbye, so that we both have the chance to find happiness again.
I will give you three years’ worth of food and clothing to help you through this time. May you live in peace and good health.”
More than a thousand years have passed, yet these words still touch our hearts and find their place in our lives today. Once again, I’m reminded of the incredible power of written language — a bridge that connects people across time, like a conversation that never truly ends.
1900년, 중국 간쑤성 둔황의 막고굴(莫高窟)에 있는 숨겨진 방에서 한 스님이 놀라운 발견을 했습니다. 그곳에는 4세기부터 12세기까지의 약 800년에 걸친 역사를 담은 5만여 점의 고대 문서가 보관되어 있었죠. 대부분은 불교 경전이었지만, 그 중에는 당시 사람들의 일상 생활을 엿볼 수 있는 귀중한 기록들도 있었습니다. 그중에는 손글씨로 작성된 방처서(放妻書), 즉 이혼 합의서 12건도 포함되어 있었습니다.
이 중 하나는 약 1,400년 전 당나라 시대에 조종민(趙宗敏)이라는 남자가 작성된 것으로, 그 진솔하고 시적인 표현으로 특히 많은 사람들의 마음을 울립니다.
그 내용은 대략 다음과 같습니다:
“그대와 내가 부부가 된 것은 아마 전생의 인연 때문일 것입니다. 하지만 어쩌면 전생에 원수였던 탓에, 지금 이생에서는 평화롭게 살 수 없는지도 모르겠습니다. 그러니 이제는 서로를 놓아주는 것이 낫겠습니다.
앞으로 각자의 길을 가게 되더라도, 부디 자신을 잘 돌보길 바랍니다. 우아함과 아름다움을 잃지 말고, 더 좋은 남자을 만나 행복하길 바랍니다. 이 이별이 조용하고 존중 가득한 작별이 되길 바라며, 우리 모두가 다시 행복을 찾을 수 있기를 소망합니다.
당신이 새롭게 시작하는데 도움이 되도록, 앞으로 3년 동안의 옷과 식량을 마련해 드리겠습니다. 평안하고 건강하게 오래 사시길 기원합니다.”
천 년이 넘는 세월이 흘렀지만, 이 글은 여전히 오늘날 우리의 마음에 깊은 울림을 줍니다. 이 글의 표현은 너무나도 유명해져서, 오늘날 중국에서 연인이나 부부가 이별할 때 “一別兩寬,各生歡喜(일별양관, 각생환희)” — “서로를 편히 놓아주고, 각자 기쁘게 살아가자” 는 문장이 자주 인용되곤 합니다. ㅋㅋㅋ
이처럼 오래된 문장이 지금도 사람들의 삶과 감정에 쓰이고 있다는 사실은, 문자가 가진 위대한 힘을 다시금 느끼게 해 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