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utlander (2014 – 2025)

Outlander is a historical fantasy drama based on the book series by Diana Gabaldon. The story follows Claire Randall, an English nurse from World War II, who mysteriously time-travels to 18th-century Scotland. There, she meets Jamie Fraser, a brave Scottish Highland warrior, and finds herself caught in a world of war, political conflict, and an unforgettable love story.

The series seamlessly blends real historical events with time travel, creating a story that is both thrilling and immersive. Jamie Fraser, the leading character, is a charismatic, fiercely loyal, and deeply honorable gentleman—qualities that have made him one of the most adored figures in historical dramas!

The phrase “Je suis prest” means “I am ready” in English. It is the motto of Clan Fraser of Lovat, the Scottish Highland clan Jamie Fraser belongs to. But why does a Scottish clan have a French motto? This goes back to the Auld Alliance (1295–1560)—a historic agreement between Scotland and France to resist English rule. Because of this connection, French was widely spoken among Scottish nobility and scholars, especially during the late Middle Ages and the Renaissance, reflecting France’s deep cultural influence over Scotland at the time.

Before English became dominant, French was Europe’s leading language in diplomacy, culture and intellectual discourse. But over time, its global influence has declined, giving way to English. No wonder President Macron is working so hard to bring French back to its former glory—”Make French great again!”

‘아웃랜더’는 다이애나 개벌던의 소설을 원작으로 한 역사 판타지 드라마입니다.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영국 간호사였던 클레어 랜달이 우연히 18세기 스코틀랜드로 시간 여행을 하게 되면서 이야기가 시작됩니다. 그곳에서 그녀는 용감한 스코틀랜드 하이랜드 전사, 제이미 프레이저를 만나 전쟁과 정치적 갈등, 그리고 운명적인 사랑에 휘말리게 되죠.

이 드라마는 실제 역사적 사건과 시간 여행을 절묘하게 엮어내며, 긴장감 넘치는 몰입감 있는 스토리를 선사합니다. 주인공 제이미 프레이저는 강한 신념과 충성심을 지닌, 카리스마가 돋보이는 인물로 역사 드라마 팬들에게 큰 사랑을 받고 있습니다.

프랑스어 문구 “Je suis prest”는 “나는 준비되었다”라는 뜻으로, 제이미 프레이저가 속한 프레이저 오브 로벗 씨족의 가훈입니다. 그런데 왜 스코틀랜드 씨족의 가훈이 프랑스어로 되어 있을까요? 이는 ‘올드 얼라이언스’와 관련이 있습니다. 올드 얼라이언스는 스코틀랜드와 프랑스가 잉글랜드에 맞서 맺은 동맹으로, 그 영향으로 당시 스코틀랜드 귀족과 학자들 사이에서 프랑스어가 널리 사용되었습니다. 결국, 프랑스는 오랫동안 스코틀랜드 문화에도 깊은 영향을 미쳤죠.

한때 프랑스어는 유럽 외교, 문화, 학문의 중심 언어였지만, 시간이 흐르면서 프랑스어의 영향력은 줄어들고 영어가 그 자리를 차지하게 되었습니다. 이에 마크롱 대통령은 프랑스어의 위상을 되찾기 위해 적극적으로 나서며, “프랑스어를 다시 위대하게” 만들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습니다.

He uses three words to describe French: ‘living, universal, and symphonic.’ I wouldn’t be surprised if he took up teaching French after his presidency.

그는 프랑스어를 ‘활기차고 널리 사용되며 소리가 아름다운 언어’라고 표현합니다. 임기 후에 프랑스어를 가르친다고 해도 저는 전혀 놀랍지 않아요. ㅋ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