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inese Typewriter

Have you ever seen a Chinese typewriter? In this video, you’ll see an operator using one that was made in Shanghai in the early 1970s. Because the Chinese language doesn’t use an alphabet, designing a machine that could handle thousands of unique characters required far more intricate engineering than the simple Latin-based typewriters.

As you can see, this Chinese typewriter doesn’t have a keyboard. Instead, it uses a tray bed filled with more than 2,500 loose metal type cubes, each representing a single character. These cubes are arranged in a grid system based on similarities in structure and frequency of use. Another 5,000 characters were kept separately in additional boxes. As a result, this machine was capable of typing approximately 7,500 commonly used characters.

The operator moves a roving selector tool across the tray bed, and when the desired character is located, they press a lever. This action lifts the metal cube, stamps it onto the page, and then returns it neatly to its original position. The operator must essentially memorize the position of every character—so only highly trained professionals could master this craft. The most experienced Chinese typists could reach speeds of about 80 characters per minute, which is truly remarkable.

The final Chinese typewriter came off the production line in the early 1990s, when word processors and computers started to replace it.

Someone might ask, “Wait, didn’t you say there are over 85,000 Chinese characters? Then why can this typewriter only type 7,500 of them?” That’s right. The 85,000 refers to the total number of existing Chinese characters, but in daily life, we really don’t need that many. Let me give you an example. A black horse is called 驪 (li), a red horse is 騂 (xing), a brown horse is 騮 (liu), and a yellow horse is 騋 (lai). But unless you’re a horse expert, there’s really no need to use all these characters. You can just say “black horse,” “red horse,” “brown horse,” or “yellow horse,” and that’s perfectly fine. Makes sense now?

중국어 타자기를 본 적이 있나요? 이 영상은 1970년대 초반 상하이에서 생산된 중국어 타자기를 사용하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중국어는 알파벳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수천 개의 글자를 한 기계에 담기 위해서는 알파벳 기반 타자기보다 훨씬 더 복잡한 기술이 필요했죠.

보시다시피, 이 중국어 타자기에는 일반적인 자판이 없습니다. 대신 2,500개가 넘는 금속 활자가 트레이 베드 위에 격자 형태로 배열되어 있으며, 글자 구조의 유사성과 사용 빈도에 따라 배치되어 있습니다. 추가로 약 5,000개의 글자는 별도의 상자에 보관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이 타자기로는 약 7,500개의 상용 한자를 입력할 수 있습니다.

사용자는 선택 도구를 트레이 베드 위에서 이동시키며 원하는 글자를 찾은 뒤, 손잡이를 누르면 금속 활자가 선택되어 종이에 찍힌 후 다시 제자리로 돌아갑니다. 타자수는 기본적으로 모든 글자의 위치를 기억해야 하기 때문에, 오직 숙련된 전문가만이 이 작업을 수행할 수 있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최고 수준의 타자수들은 분당 약 80자를 입력할 수 있었다고 하니 정말 놀라운 일입니다.

중국어 타자기는 1990년대 초반을 마지막으로 생산이 중단되었습니다. 그 이후에는 워드프로세서나 컴퓨터 같은 새로운 기술이 등장하면서 자연스럽게 대체되었죠.

어떤 분이 이렇게 물어볼 수도 있겠죠. “한자가 8만 5천 자나 된다면서요? 그런데 이 타자기는 왜 7천 5백 자밖에 못 쳐요?” 맞아요. 8만 5천 자는 존재하는 전체 한자 수를 말하지만, 일상생활에서는 그렇게 많은 글자를 쓸 일이 없어요. 예를 들어 볼게요. 까만 말을 ‘驪(려)’, 붉은 말을 ‘騂(성)’, 갈색 말을 ‘騮(류)’, 그리고 노란색 말을 ‘騋(래)’라고 합니다. 그런데 이런 한자는 말 전문가가 아니라면 굳이 사용할 필요가 없겠죠. 일반 사람들은 그냥 ‘검은 말’, ‘붉은 말’, ‘갈색 말’, ‘노란 말’이라고 하면 충분하잖아요. 이해되셨죠? ㅋㅋㅋ

Leave a Reply